로고

정신병원강제입원-인천,수원,안산,김포,일산,파주
로그인 회원가입
  • 강제입원절차
  • 강제입원절차

    강제입원절차

    §§§ 중국인 D-8비자로 무역회사 설립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Uba
    댓글 0건 조회 41회 작성일 24-12-29 08:11

    본문

    베트남 무역회사 유통시장 진출, 현지 유통판매기업 법인등록-베트남 생활 소비재 시장 진출, 지금이 적기-도매 유통분야 선점 후, 소매유통으로 확대 전략 필요비나한인우리의 대베트남 수출 급증... 베트남, 한국의 최대 무역흑자국 부상2022년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전년 대비 14.5% 증가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2017년 이후 6년 연속 증가한국의 대인도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 사상 최대치 기록베트남 도매소매 유통시장 진출을 위한 법인설립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국, 7위 수입국이면서 전통적인 한류 강세지역으로 패션, 뷰티, 프랜차이즈, 한국 상품 등이 한류의 파급과 함께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한국의 한류 상품, 화장품·뷰티제품,액세서리,생활용품,식자재·식움료,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제품 등 한국의 다양한 제품들이 한류와 더블어 큰 인기를 끌며 수입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건을 활용하여 진출 초기 소자본으로 베트남 유통시장 진출을 위한 무역회사 설립절차와 시장 접근 방법 등을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수출입 무역회사 법인설립 사업자등록한국 및 무역회사 기타 국가로부터 취급 제품 등을 베트남에 수입하여 판매유통 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지에 수출입 무역회사를 법인 형태(주식회사, 유한책임회사)로 설립하여야 합니다.​투자자는 조직(법인) 개인(자연인) 모두 100% 지분을 갖는 외국인 투자법인설립이 가능합니다. -개인 1인이 투자하는 경우 1인유한책임회사 형태 -베트남은 현지인 고용 의무가 없어 투자자(대표자) 1인회사(유한회사)로 운영 가능함.법인설립은 먼저 외국인투자등록 심사 후 투자등록증(IRC) 발급 받은 후에 법인을 등록(사업등록) 하여야 하며 소매 유통의 경우 소매영업 활동 라이선스(BL)를 법인등록 후 추가 신청 발급 받아야 하고,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자사몰 사이트를 통한 유통판매 계획인 경우 요건에 맞는 자사몰 사이트 구축하여 상공부(전자 상거래 및 디지털 경제국)에 등록해야 합니다.*여기서 '전자상거래'업이라 함은 플랫폼 제공(오픈마켓 형태 등..)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업'과는 별개의 업종에 속하는 산업 코드입니다.​법인등록 주소지(매장/임대 사무실) 사전 확인 사항베트남에서 법인설립 진행을 위해서는 법인등록할 임대 사무실이나 매장 등 법인등록할 주소 확보가 무역회사 선행 되어야 하는데, 해당 주소지 건물이 외국인 투자법인 등록 요건이 갖추어진 대상인지 반드시 사전 체크 후 결정하여야 합니다.베트남 소매 유통구조소매유통 판매법인설립 등록절차 및 필요한 인허가1, 투자 증명서 신청 및 발급(IRC)2, 사업 등록증(ERC) 신청 발급(수출입 무역 유통판매업)3, 사업 등록증(ERC) 신청 발급 후, 후속 조치법인 직인 제작 신청 등록법인 계좌개설(자본금 계좌, 거래용 계좌)세무 초기신고(전자서명 개설 등록, 정보 기록: USB 보안 토큰 구입 필요)투자프로젝트 상황 보고서 제출을 위한 계정 발급 신청-소요 기간: ERC 발급 후 약 1주 소요*수출입도매유통업은 1,2,3항까지 이행하면 즉시 영업 가능하고 수입시 아이템에 따라 수입허가 필요.4,BUSINESS LICENSE 신청 발급(BL): 소매영업 라이선스​베트남 시장에 소매 유통판매를 위한 소매업 및 소매점포 운영, 온라인 인터넷 통신 판매 등을 위해서는 법인이 등록되어 있는 해당 성·시의 인민위원회 산업통상국(DoIT)로부터 영업허가서(BL) 및 소매점포 허가서 발급, 전자상거래 무역회사 등록 절차 등을 마쳐야 영업을 할 수 있고 발급까지는 통상 8주(이상)으로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충분한 여유를 갖고 사업 일정을 잡아야 할겁니다 5, 전자 상거래를 위한 사이트 등록 및 전자 상거래 등록​6, 매장 운영 허가(오프라인 판매)매장을 통한 소매 판매 영업을 위해서는 매장 운영을 위한 소방 안전 위생 등 관련 인허가을 받아야 합니다.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및 준비서류 안내, 외국인 투자 법인설립 공장설립 대행 컨설팅수입 시 베트남 보건부(MOH) 산하 식약청(DAV) 인증베트남에 화장품, 식품 등 일부 아이템은 수입 시 미국의FDA(미국 연방 식품의약국)와 같은 베트남 보건부(MOH) 산하 식약청(DAV, Drug Administration of Vietnam)으로부터 인증 받아야 하며, 제품의 인증을 받기 의한 전제조건으로 ① 화장품에 대한 성분표, MSDS(화학 성분표) 등의 서류를 핸들링 할 수 있어야 하며, ② 베트남 내 수입자가 베트남 현지에 법인등록이 되어 무역회사 있어야 합니다.따라서 베트남 수입 업자는 해당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어야만 하며, 해당 업체가 베트남에서 해당 화장품을 판매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합니다.​소자본 최소 초기 투자금(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음)베트남은 각 성,시 지역에 따라 외투법인설립 여건이나 요구하는 조건 등이 다르기에 진출지역(법인등록) 투자국 등에서 기대하는 외국인 기본 투자 금액 설정액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전 하노이 총투자금 10만 달러에 정관자본금 5만 달러, 호치민 1~2만 달러로 외투법인설립이 가능했으나 최근 하노이 및 주변 인근 성 대부분의 경우 50만 달러에 해당하는 재정능력 입증(잔고증명)하고 정관 납입자본금 25달러 설정해야 법인설립 진행 가능한 것으로 소자본 투자자들에게는 전에 비해 베트남 창업 여건이 더욱 어려어지는 듯합니다.호치민의 경우 상대적 진보 성향으로 이 부분에 있어 하노이에 비해 다소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2022년 K-EXPO 포스터베트남 소비자 트렌드(무역협회 자료 발췌)​□ 중산층 진입 규모 확대 무역회사 및 중소도시의 성장ㅇ 베트남은 향후 10년 間 중산층 소비자 계층*이 3,600만명 증가할 전망* 소비자 구매력평가(PPP) 기준, 하루 최소 11달러를 소비하는 소비자- 베트남 전체 인구 中 중산층 소비자 계층이 2000년에는 10% 미만이 었으나 현재 40% 까지 증가, 향후 2030년에는 75% 까지 이를 전망​□ 인구통계학적 변화① 가구 인원수 감소ㅇ 베트남 가구의 평균인원수는 1999년 4.5명에서 2019년 3.5명으로 약 20% 감소​② 노령인구의 소비 비중 증가ㅇ 베트남은 2020년 기준, 중위 연령이 32세로 젊은 국가에 해당ㅇ 하지만 향후 60세 이상 노령인구가 500만명까지 증가하여 2030년에는 베트남 전체 인구의 17%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ㅇ 이러한 사실에 기반하여 최근 10년 間 베트남의 의료투자도 급증​③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부상ㅇ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2030년까지 베트남 소비의 40%를 차지할 전망* 1980~2012년 사이 출생자로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를 모두 포함하는 세대ㅇ 무역회사 2020년 기준 베트남 전체 인구의 70%는 인터넷을 사용 중​④ 여성의 경제적 지위 상승ㅇ 2019년 기준 베트남 여성의 노동참여율은 88%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⑤ 소규모 도시 및 지역에서의 소비 증가ㅇ 베트남은 하노이 및 호치민시와 더불어 소규모 도시 또한 새로운 소비 중심지역으로 발전하는 추세​□ 소비자 환경의 현대화 및 다양화를 이끄는 행동 변화① 새로운 채널 믹스 전략ㅇ 베트남 소비자들의 디지털 중심으로의 소비 방식 변화- 2025년까지 베트남 전자상거래는 오프라인 식료품 소매업과 비슷한 규모로 성장할 전망​② 베트남 자국 브랜드 선호경향 확대ㅇ 소비재의 경우, 아시아産 브랜드 수익은 연간 9% 증가한 반면 非아시아産은 5% 증가에 불과​③ 친환경 소비ㅇ 베트남 소비자의 91%가 친환경적 생활방식에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 반면 인도네시아는 86%, 태국 73%, 말레이시아는 75%에 불과- 또한 베트남 소비자는 84%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추가적 비용 지 무역회사 불용의’가 있는 것으로도 조사​④ 지리적 차별성 약화ㅇ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은 북부/중부/남부 로 구분하여 타켓팅하였으나 지리적 차별성은 점차 약화되는 추세​시사점ㅇ 베트남 소비시장은 최근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시간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양상- 베트남의 소비자 계층은 지리적·사회적·인구학적·기술적으로 다변화되어 가는 추세ㅇ 이에 기업들은 소비자의 소득 수준 뿐 아니라 새로운 마케팅 채널, 전략, 방법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판매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출처: 무역협회 호치민지부​​무단복제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베트남 투자진출 창업 상담문의-업무 시간: AM8 ~ PM5직통 전화-베트남(국가번호 +84)0909 194 181 (한국어/일어) (베트남어/영어)​메일/카카오톡/라인- 라인/카카오톡 ID: vinahanin (무료 직통 통화 가능)- 카톡 상담 시간: AM7~PM7(베트남 시간, 휴무일 카톡 상담, 부동산 안내 가능)​​#베트남 #무역업 #법인설립 #회사설립 #자사몰 #사업자등록 #수출입무역 #유통법인 #유통판매 #전자상거래 #인터넷통신판매 #온라인쇼핑몰 #자사몰 #판매법인설립 #판매회사 #소매유통회사 #수출입기업 #소매판매 #도매판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